GitHub에서 코드가 무엇인지 파악하려고 README.md를 읽은 적은 많지만 뒤에 '.md'가 무엇인지 별로 관심이 없었다.
그러면서 Jupyter Notebook을 이용할 때도 주석 비슷한 글씨 블록을 만들 때 '마크다운'으로 한다는 얘기를 듣고 활용법에 별로 관심이 없었다.
그러다가 주피터노트북을 예쁘게 쓰고 싶어서 찾아보니 마크다운이 신세계다.....!
마크다운은 markup language의 일종으로 프로그래밍 언어는 아니지만 일반적인 텍스트를
마크다운이 재밌어서 갖고놀다보니 까먹기 전에 정리해야 겠단 생각이 들었다.
기본적인 마크다운(Markdown) 기능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주피터노트북으로 작성해본 예시)
1. 제목 만들기
제목은 #을 써서 작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목을 강조하고 싶은 정도 (글씨 크기)에 따라 #의 개수를 다르게 하면 된다.
예를 들어 이렇게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나온다.
2. 줄 띄어쓰기 (New Line)
위 예시 처럼
7개를 적는 순간 안 됨
main text
라고 일반적으로 타자 치면 줄 띄기가 안 된다.
글씨 뒤에 스페이스를 두번 치면 된다.
7개를 적는 순간 안 됨 <-- 알고 보면 뒤에 스페이스를 두 번 누른 것이다.
main text
3. 이탈릭(기울기), 볼드체, 선 긋기
각각 텍스트 양 끝에
* text *
** text **
~~ text ~~
를 달아주면 된다.
상단에 옅은 가로선을 긋고 싶으면은 언더바/언더스코어(_)를 세번 입력하면 된다.
4. 블록 쿼트 (block quote, 글씨 앞에 흐린 가로선)
이렇게 글씨 앞에 '>' 부등호를 써주면 된다.
위 One, Two, Three에서 줄 바꾸기를 위해 언급했듯이 스페이스를 두 번씩 눌렀다.
결과는 아래처럼 나온다!
>를 >>, >>> 등 여러 개 하면 블록 쿼트 안의 블록 쿼트도 만들 수 있다.
5. 핀포인트(pin point) 쓰기
-, * 등을 글자 앞에 쓰면 핀포인트를 표시할 수 있다.
( 둘 중에 무엇을 써도 상관 없다!)
6. 코드 블록/
글자의 앞 뒤에 ` `를 쳐주면 박스가 쳐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작은 따옴표('')가 아니라 물결이 있는 키의 ``를 써야 한다!
7. 화살표 표시하기 (→, ←, ↑, ↓)
가끔 텍스트 내용 안에 화살표를 표시하고 싶을 때가 있다.
그럴 땐 아래에서 둘 중 하나만 입력해주면 된다.
- 왼쪽 화살표 : `←`, `←`
- 오른쪽 화살표 : `→`, `→`
- 위 화살표 : `↑` , `↑`
- 아래 화살표 : `↓`, `↓`
쓰다보니 길어져서 다른 몇 가지 기능은 다음에 올려야겠당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안] MS-SDL이란 (마이크로소프트 보안개발라이프사이클) (0) | 2022.11.07 |
---|---|
[코딩 스타일/명명법] Camel case(카멜 케이스) vs. Snake case(스네이크 케이스) (0) | 2021.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