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내 노트북은 Windows 10 운영체제를 사용 중이다.
그렇지만 나는 리눅스에서 개발을 하고, 도커도 이용해보려고 WSL 설치를 해보았다.
나는 Linux용 노트북이 아니고, 윈도우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노트북을 새로 사는 대신에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를 까는데 도전하려고 한다.
가장 먼저 'Windows Terminal'을 다운받는다.
윈도우 메뉴에 'Microsoft Store'를 치고 들어가서 아래 이미지와 같이 Windows Terminal를 다운 받으면 된다.
그리고 윈도우 메뉴를 다시 열어서 Windows Terminal (=Windows Powershell)을 열어준다.
이때 주의할 점은 WSL을 하려면 관리자 권한으로 열어야 한다는 점이다.
우클릭으로 관리자 권한을 선택하거나
오른쪽에 뜨는 메뉴 중에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선택해주면 된다.
터미널에
>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Microsoft-Windows-Subsystem-Linux /all /norestart
>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VirtualMachinePlatform /all /norestart
이 두 줄을 입력해준다.
처음 명령어는 wsl을 허용해주는 것이고, 두 번째는 virtual machine feature을 허용해주는 과정이라고 나와있다.
이 이후에 터미널을 재부팅하고 wsl을 입력해주면 설치가 완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다시 Microsoft Store에 들어가서 Ubuntu를 설치해주었다.
Ubuntu를 설치하니까 자동으로 버전 20.04가 깔렸다.
실행시키면 아래와 같이 UNIX username과 password를 설정하라고 뜬다.
원하는걸로 설정해두면 이후에 우분투에서 사용할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가 설정된다.
혹시 WSL2를 사용하고 싶으면 아래 명령어를 윈도우 터미널에 입력해서 버전을 바꿔주면 된다.
> wsl --set-default-version 2
> wsl --set-version Ubuntu 2
처음 명령어는 리눅스 distribution을 다운 받을 때 항상 WSL 2로 다운되도록 하는 명령어이고,
아래는 우분투에 버전을 WSL 2로 설정해주는 것이다.
이 명령어들도 실행시켜 준 다음에 재부팅을 해줘야 바뀐 버전으로 버전을 확인(version check)할 수 있다.
사실 첫 명령어만 실행해도 될 것 같은데 혹시 버전 확인을 했는데도 WSL1이면 아래의 명령어를 실행해주면 될 것 같다.
(> wsl -l -v 라는 명령어를 입력해서 버전을 확인하기!)
이번 글을 작성하는데 아래의 마이크로소프트 문서를 참고하였다.
더 자세한 설명이나 내용이 읽고 싶은 사람들은 아래 내용을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wsl/install-win10
Install Windows Subsystem for Linux (WSL) on Windows 10
Learn how to install Linux distributions on your Windows 10 machine, with a Bash terminal, including Ubuntu, Debian, SUSE, Kali, Fedora, Pengwin, and Alpine.
docs.microsoft.com
'Linux - Ubuntu > WSL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WSL] WSL 2 설치 중 에러 해결(윈도우 업데이트 문제) (0) | 2021.02.04 |
---|